아기가 고열(열이 높을 때) 증상을 보일 때는 부모가 빠르고 올바르게 대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.
여기서는 원인 → 판단 기준 → 응급상황 구별 → 단계별 대처법 → 예방 팁까지 체계적으로 정리해 드릴게요.
아기 고열(열이 높을 때) 대처법 완전 가이드
아기 고열의 정의
-
정상 체온: 36.5°C ~ 37.5°C
-
미열: 37.6°C ~ 38.0°C
-
고열: 38.1°C 이상
-
고위험 고열: 39.5°C 이상
-
위험 체온: 40°C 이상 → 즉시 병원
측정 위치별로 약간 차이 있음
-
겨드랑이: +0.5°C
-
항문 체온: 실제 체온에 가장 근접
-
귀(고막) 체온: 빠르지만 측정 오차 가능
아기에게 열이 나는 주된 원인
구분 | 원인 | 특징 |
---|---|---|
🔹 감염성 | 감기, 인플루엔자, 중이염, 폐렴, 요로감염 등 | 가장 흔한 원인 (70% 이상) |
🔹 예방접종 후 | 예방접종 당일~다음날 일시적 발열 | 보통 1~2일 내 해열 |
🔹 열성 경련 체질 | 6개월~5세 사이에 반복적 발열 시 경련 | 유전적 요인 |
🔹 염증/기타 | 장염, 편도염, 피부염 등 | 동반 증상으로 구분 가능 |
응급상황 구별하기 (즉시 병원 가야 하는 경우)
다음 중 하나라도 해당되면 즉시 응급실로 이동하세요
-
생후 3개월 미만인데 38°C 이상
-
체온이 40°C 이상 지속
-
경련 (몸이 뻣뻣하거나 눈이 돌아감)
-
숨이 가쁘거나 호흡이 힘들어 보임
-
의식이 흐릿하거나 축 늘어짐
-
구토·설사 지속, 소변이 거의 없음 (탈수 의심)
-
피부 발진, 입술 색이 창백/보라색
-
24시간 이상 해열제 사용해도 열이 계속됨
가정에서의 단계별 대처법
1단계: 체온 정확히 확인
-
디지털 체온계로 측정 (항문 또는 귀)
-
최소 4시간 간격으로 재측정
-
기록해두면 병원 진료 시 도움됨
2단계: 체온 낮추기 (비약물적 조치)
방법 | 설명 |
---|---|
옷 | 얇고 통풍 잘 되는 옷 착용 (두껍게 덮지 말기) |
방 온도 | 22~24°C 유지, 환기 자주 |
수분 공급 | 미지근한 물, 분유, 모유 자주 주기 (탈수 예방) |
미온수 마사지 | 32~35°C 물로 수건 적셔 몸 닦기 (목, 겨드랑이, 사타구니 중심) |
휴식 | 많이 안아주고, 울지 않게 안정시키기 |
⚠️ 주의:
-
찬물·알코올로 닦지 마세요 (혈관 수축으로 열 배출 방해)
-
너무 많은 담요나 옷 금지
3단계: 해열제 사용 (약물 조치)
사용 기준
-
체온이 38.5°C 이상일 때 사용
-
아기가 불편해하거나 보채는 경우 우선 고려
해열제 종류
약품명 | 성분 | 복용 간격 | 주의점 |
---|---|---|---|
타이레놀 | 아세트아미노펜 | 4~6시간 간격 | 생후 2개월 이상 가능 |
부루펜 | 이부프로펜 | 6~8시간 간격 | 생후 6개월 이상 가능 |
해열제 중복 사용 금지! (간 독성 위험)
체중 기준 용량 꼭 확인 (약사/의사 상담)
4단계: 관찰 및 병원 방문 시점
증상 지속 시간 | 권장 조치 |
---|---|
24시간 이내 | 해열제·수분공급으로 추적관찰 |
24~48시간 지속 | 병원 방문 권장 |
3일 이상 지속 | 반드시 병원 진료 필요 |
열성 경련이 발생했을 때 대처법
발생 시 즉시 해야 할 일
-
아기를 바닥에 눕히고 기도 확보
-
혀에 손 넣지 말기, 억지로 입 벌리지 않기
-
5분 이상 경련 지속 → 응급실 이동
-
경련 후 체온 확인, 의식 회복 여부 확인
병원 진료 시 준비 사항
-
체온 기록표
-
해열제 사용 시각/용량
-
동반 증상 (기침, 구토, 발진 등) 메모
-
예방접종 여부
예방과 관리 팁
일상 관리
-
손 자주 씻기 (감염 예방)
-
충분한 수면, 영양 관리
-
외출 시 기온 변화 대비 (모자, 얇은 겉옷)
-
예방접종 후 2일간 체온 관찰
수분 관리
-
탈수 예방 위해 물, 모유, 분유 충분히 공급
-
소변 양이 줄면 즉시 수분 보충
요약
단계 | 핵심 포인트 |
---|---|
1️⃣ 체온 확인 | 정확한 체온 측정, 기록 |
2️⃣ 체온 낮추기 | 옷, 환경, 미온수로 조절 |
3️⃣ 해열제 | 38.5°C 이상, 체중 기준 사용 |
4️⃣ 병원 방문 | 3개월 미만·40°C 이상·경련 시 즉시 |
5️⃣ 예방 | 위생, 수분, 충분한 휴식 |